ML 썸네일형 리스트형 1945년 해방 직후 조선공산당의 계보 이 글은 《해방정국과 조선혁명론》(해방3년사연구회 지음, 대야출판사, 1988)의 2장, 조선공산당의 변혁운동론을 요약정리한 것이다.아래 요약 구조는 기본적 소제목 등은 책을 따랐으나, 내가 임의로 이해하기 쉽다고 생각한대로 재구성한 측면도 있다.1.연혁해방 직후 공산주의자들은 가장 먼저 정치세력을 형성했는데, 일제 하에서 투쟁을 계속하면서 중요한 반일 저항세력으로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뒷부분에도 나오는데, 공산주의자들은 기층 민중에게서 신뢰를 가장 많이 받고 있었다고 한다.공산주의자들이 강력한 규율과 조직력을 지니고 있었던 점도 주요한 원인이 됐다.그런데 조선공산당의 최대 약점은 파벌성, 분파투쟁이었다. 이를 극복하지 못했던 게 해방 직후의 운동에도 영향을 끼친다.조선공산당의 파벌은 4개다. 아래.. 더보기 이전 1 다음
1945년 해방 직후 조선공산당의 계보 이 글은 《해방정국과 조선혁명론》(해방3년사연구회 지음, 대야출판사, 1988)의 2장, 조선공산당의 변혁운동론을 요약정리한 것이다.아래 요약 구조는 기본적 소제목 등은 책을 따랐으나, 내가 임의로 이해하기 쉽다고 생각한대로 재구성한 측면도 있다.1.연혁해방 직후 공산주의자들은 가장 먼저 정치세력을 형성했는데, 일제 하에서 투쟁을 계속하면서 중요한 반일 저항세력으로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뒷부분에도 나오는데, 공산주의자들은 기층 민중에게서 신뢰를 가장 많이 받고 있었다고 한다.공산주의자들이 강력한 규율과 조직력을 지니고 있었던 점도 주요한 원인이 됐다.그런데 조선공산당의 최대 약점은 파벌성, 분파투쟁이었다. 이를 극복하지 못했던 게 해방 직후의 운동에도 영향을 끼친다.조선공산당의 파벌은 4개다. 아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