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업지지] 프로 펌로거, 〈한겨레〉에 등장


오늘자 <한겨레>를 읽다가 ‘광고성 낚시질 ‘스팸 블로그’’라는 기사를 봤다. 소제목이 ‘유명 콘텐츠 마구잡이 복사해 돈벌이 이용 극성’이었다. 발상의 전환을 저렇게도 할 수 있구나 싶었다.

그렇지 돈 버는데 못할 게 없지.

예전에, 네이버가 불법복제한 글을 적발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가, 네이버 블로그들이 너무 많이 적발되서 그런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끝났다는 이야기를 본 적이 있다.

아마 ‘스팸 블로그’를 근절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대형업체들은 많은 사람들이 원문을 링크하거나 밝히지 않고 ‘퍼가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그게 트래픽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묵인ㆍ방조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그게 돈의 논리다.

법적 규제 혹은 펌질이 심한 곳은 망하는 문화 둘 중 하나가 확실해지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스팸 블로그’는 극성을 부릴 것이다. 때때로 이건 기사가 나올 때만 잡겠지.

사족. Copyright와 Copyleft

Copyright와 Copyleft 논쟁이 있다. 오프라인 저작권 문제에는 비교적 명확하다. “꼭 내가 쓴 글을 사서 봐야 하나? 그냥 복사해서 봐!” 이게 Copyleft 정신의 토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웹에서는 다르다. 원문을 꼭 복사해야 타인이 읽을 수 있는 게 아니다. 링크하면 되니까. 그래서 웹에서의 ‘전문복사 가능’은 오프라인과 다른 면이 있다. 

오프라인에서 ‘전문복사 가능’은 정보의 공유였지만, 온라인에서는 꼭 복사하지 않아도 공유가 된다.

또한 트래픽은 영향력, 수입과 직결된다. (수입보다 영향력이 더 큰 변수다.) 이게 중요하다. 그래서 웹에서의 ‘전문복사’는 공들여 원문을 쓴 사람의 영향력과 수입을 빼앗는 짓이 된다.

정확히 말해 오프라인에서 카피라이트에 비견되는 웹의 카피라이트는 돈내고 보도록 컨텐츠를 닫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웹에서 일단 광고없이 공짜로 글을 보여주면 카피레프트 정신에 충실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본다.

글의 출처와 링크는, 그건 카피라이트도 카피레프트도 아닌 그냥 양식개념,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양심의 문제다. 양식있는 사람들이라면 부분인용한 후 링크를 거는 게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