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썸네일형 리스트형 민주국가 유럽에 대한 환상 우리는 흔히 유럽을 민주적이고 복지체계가 잘 이뤄진 국가라고 생각한다.일단 이것은 사실이다. 유럽은 한국보다 훨씬 더 민주적이고, 훨씬 더 복지체제가 잘 갖춰져 있다. 프랑스 택시기사였던 홍세화가 아무 어려움 없이 자식교육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그러나 이런 인식에는 환상이 끼어들 여지가 있다. 이 환상은 홍세화의 ‘노블리스 오블리주’론에 내재한 함정이다. 이 말이 사람들에게는 유럽의 보수는 상식적이라거나 유럽의 보수는 한국의 보수와 같지 않다는 말로 치환돼 인식되는 것이다.그럴까? 그런 면도 있고 그렇지 않은 면도 있는 것이 문제다. 옳은 것과 옳지 않은 것이 동시에 ‘원인’ 대접을 받으면 그 분석은 틀린 분석이고 실천적 결론도 틀리게 된다.무엇이 다를까? 유럽의 보수는 강력한 유럽.. 더보기 마르크스는 오늘날 경제 위기를 어떻게 볼까? 누군가 “마르크스가 오늘날의 세계를 본다면 자본주의의 위기 극복 능력에 경탄할 것” 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물음표를 떠올렸던 기억이 난다.그도 그럴 것이 제2차세계대전 이후 황금 같은 대호황 30년을 제외하고 자본주의는 줄곧 위기를 겪어왔기 때문이다. 70년대 말 오일쇼크와 90년대 말 동아시아 금융 위기, 2000년대 초반의 미국의 엔론 사태, 그리고 작년부터 시작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와 올해의 미국 금융 위기까지 자본주의는 위기의 연속이었다.사실 언론이 각각의 위기가 마치 각각 다른 이유 때문에 찾아온 것처럼 말하니까 사람들이 연속적으로 사고할만한 여유를 못 가져서 그렇지 이렇게 나열해놓고 보면 위기가 꽤 주기적으로 반복된 것을 알 수 있다.사람이 숨을 쉬듯 자본주의는 호황과 불황이라는 들숨과 날숨.. 더보기 이전 1 2 다음
민주국가 유럽에 대한 환상 우리는 흔히 유럽을 민주적이고 복지체계가 잘 이뤄진 국가라고 생각한다.일단 이것은 사실이다. 유럽은 한국보다 훨씬 더 민주적이고, 훨씬 더 복지체제가 잘 갖춰져 있다. 프랑스 택시기사였던 홍세화가 아무 어려움 없이 자식교육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그러나 이런 인식에는 환상이 끼어들 여지가 있다. 이 환상은 홍세화의 ‘노블리스 오블리주’론에 내재한 함정이다. 이 말이 사람들에게는 유럽의 보수는 상식적이라거나 유럽의 보수는 한국의 보수와 같지 않다는 말로 치환돼 인식되는 것이다.그럴까? 그런 면도 있고 그렇지 않은 면도 있는 것이 문제다. 옳은 것과 옳지 않은 것이 동시에 ‘원인’ 대접을 받으면 그 분석은 틀린 분석이고 실천적 결론도 틀리게 된다.무엇이 다를까? 유럽의 보수는 강력한 유럽.. 더보기
마르크스는 오늘날 경제 위기를 어떻게 볼까? 누군가 “마르크스가 오늘날의 세계를 본다면 자본주의의 위기 극복 능력에 경탄할 것” 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물음표를 떠올렸던 기억이 난다.그도 그럴 것이 제2차세계대전 이후 황금 같은 대호황 30년을 제외하고 자본주의는 줄곧 위기를 겪어왔기 때문이다. 70년대 말 오일쇼크와 90년대 말 동아시아 금융 위기, 2000년대 초반의 미국의 엔론 사태, 그리고 작년부터 시작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와 올해의 미국 금융 위기까지 자본주의는 위기의 연속이었다.사실 언론이 각각의 위기가 마치 각각 다른 이유 때문에 찾아온 것처럼 말하니까 사람들이 연속적으로 사고할만한 여유를 못 가져서 그렇지 이렇게 나열해놓고 보면 위기가 꽤 주기적으로 반복된 것을 알 수 있다.사람이 숨을 쉬듯 자본주의는 호황과 불황이라는 들숨과 날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