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와 노동자 투쟁

사람들은 마르크스에 대해 잘 모른다. 요즘은 1980년대 같지 않다. 나도 마르크스를 알기 전에는 ‘폭력 혁명의 주창자’가 유일한 이미지였으니까 말이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방법론은 꽤나 면밀하다. 마르크스의 방법론은 전혀 추상적이지 않고, 따라서 호오가 분명하다. 마르크스주의의 분명한 장점이다.

그리고 그 중 단연 돋보이는 것은 사회 변동의 힘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명확히 한 점이다. 인류 역사에는 수많은 반란이 있었다. 그러나 그 많은 반란 중 성공에 이른 반란은 많지 않다. 서양에서는 스파르타쿠스의 반란에서 시작해, 한국 역사의 망이 망소이까지. 피지배계급이 일으킨 반란은 참혹한 학살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중국은 약간 다르지만 결과는 같았다. 농민 반란은 자신들의 왕을 배출했다. 한나라를 세운 유방과 명나라를 세운 주원장은 농민 출신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사회를 근저에서 변혁하지 못했다.

역사상 피지배계급이 혁명을 일으켜 사회를 자신들의 형상을 본떠 변화시킨 예는 지금까지 부르주아들이 유일하다. 이들은 신분제 사회를 바꿨다. 그리고 그 힘은 상업과 산업에서 나왔다.

민중

민중이라는 말은 지배자들이라는 말과 대비시켜서 사용하는 말이다. 피억압계급 전부를 지칭한다. 하지만 그 안엔 다양한 계급이 있어 모호한 말이다.

예컨대 프랑스 혁명 당시 부르주아와 상큘로트(도시 노동자), 농민 모두 민중이었다. 오늘날 대부르주아는 민중이 아니라 지배계급이다.

부르주아 혁명은 부르주아가 지도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에서 소심한 부르주아들을 끊임없이 밀어붙여 혁명을 승리로 이끈 것은 도시 노동자인 상큘로트였다. 그러나 그 결과로 만들어진 사회는 부르주아를 위한 사회였다. 상큘로트는 아직 자신들을 본뜬 사회를 만들기엔 충분히 성숙하지 못했다.

노동계급

마르크스는 부르주아 혁명을 알았다. 그 결과 새로 탄생한 대규모의 계급을 봤다. 마르크스가 봤던 것은 노동자 계급이었다.

영국 혁명, 미국 혁명, 프랑스 혁명을 보면서 많은 부르주아들은 인류의 밝은 미래를 상상했다.

그런데 현실은 그들의 기대를 완전히 배신했다. 부르주아들은 노동계급을 노예보다 가혹하게 부려먹었다. 노예는 주인이 먹여 살려야 했지만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을 먹여 살릴 책임이 없었다. 필요없어지면 해고하면 그만이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동정적 부르주아들이자 공상적 사회주의자인 오웬 같은 이들이다.

마르크스는 역사는 그렇게 개선되는 게 아니라고 말했다. 피억압계급의 투쟁이 역사를 변화시킨다.

과거에는 피억압계급의 힘이 모자라서 사회를 뿌리에서 흔들어도 결국 그 과실은 지배체제의 변화를 낳을 뿐이었지만, 이제 역사상 가장 강력한 피억압계급이 나타났다고 말했는데 그것이 바로 노동계급이다.

노동자들이 과거의 피억압계급에 비해 유리한 점은 분명하다. 이들은 협동해서 일해야 한다. 한 작업장 수준에서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말이다. 철강 노동자들의 철이 없으면 자동차 노동자들은 자동차를 만들지 못한다. 발전 노동자들이 일하지 않아도 자동차 노동자들은 자동차를 만들지 못한다. 철강 노동자들이 일해도 화물 노동자들이 일하지 않으면 자동차는 만들어질 수 없다. 그물망처럼 촘촘히 짜여진 생산 체계, 이것이 마르크스가 노동자들에게서 봤던 점이다.

△직물 노동자들의 파업. (1915년 시카고)

그리고 노동자들의 조건은 거의 비슷하다. 어느 한 노동자의 임금만 올리기 힘들다. 현대차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이 현대차 계열사들, 그리고 협력업체들의 임금인상을 이끄는 것처럼 한 사회 노동자들의 작업 조건은 대체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불황기에는 자본가들이 노동자들을 마음대로 해고하지만 호황기에는 노동자들이 임금협상에서 우위를 점한다. 노동자들은 협력의 그물망 안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단결하기도 편했고, 행동을 통일하기도 편했다. 그래서 동일한 노동조건을 쟁취하기도 편했다. 이것도 마르크스가 중요하게 여겼던 점이다.

소상인과 농민

노동자들은 농민이나 소상인과 달랐다. 소상인은 협력 플레이를 하지 않는다. 건너편 슈퍼와 친하게 지내는 이쪽 슈퍼 아저씨도, 건너편 슈퍼가 망했을 때 객관적으로 이득이다. 농민은 옆집 농민의 땅을 구입해서 땅을 늘리면 객관적으로 이득이다.

노동자는 옆자리 노동자가 사라지면 객관적으로 불편하다.

마르크스주의에서 노동자 투쟁

봉건제를 무너뜨리는 데서는 부르주아들이 핵심 역할을 맡았다. 부르주아들이 그런 조건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자본주의를 변혁하는 데 있어 노동자들이 바로 핵심적이다. 노동자들이 그런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노동자들의 투쟁을 중요하게 여긴다. 나는 보건의료노조의 투쟁이 잘 됐으면 좋겠다. 쌍용차 노동자들이 승리했으면 좋겠다.

현대차 노동자들이 악선동에 주눅들지 않았으면 좋겠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차별을 감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최저임금 투쟁이 사회적 투쟁으로 발전했으면 좋겠다.

그래서 노동계급이 자신들의 힘을 유감없이 발휘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