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르크스주의

사회주의/공산주의와 파업 들어가기 전에 한 마디 해 둘 게 있다. 나는 여기서 ‘사회주의’란 말과 ‘공산주의’란 말을 동의어로 사용한다. 왜 그런지 궁금한 분들은 내가 쓴 글 ‘사회주의/공산주의는 개인 소유 자체를 부정하는가’의 앞부분을 읽어 보기 바란다. 내가 사회주의자도 되기 전의 일이다. 나는 그 전에 간디의 사상에 매력을 느끼고 있었다. 뭐, 간디주의자쯤 해 두자. 민중신학에도 관심이 많았다. 아실랑가 모르겠지만 함석헌 선생님이 내시던 잡지 《씨알의 소리》가 여전히 나오고 있었고, 나는 그 잡지를 늘 구입해 읽었다.(!) 나는 폭력으로 바꾼 세상은, 폭력으로 망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즉, 폭력혁명은 대안이 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폭력을 행사하며 세상을 바꾸는 과정에서 세상을 바꾼 주체 자신이 폭력으로 인해 변질될 .. 더보기
[강추] 이론과 실천의 결합, 새로 나온 계간지 《마르크스21》 《마르크스21》이라는 잡지가 서점에 깔리기 시작했다. 예스24, 교보문고, 인터파크, 알라딘, 반디앤루니스, 영풍문고 등등(전체 구입처는 여기서 봐라 : 마르크스21 구입처) 인터넷 서점들 중 내가 가장 괜찮게 생각하는 알라딘의 인증샷. 알라딘은 10% 할인 중이다. 하지만 이런 출판사 원래 돈이 없으니깐, 진짜로 이 잡지가 잘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직접 마르크스21 홈페이지에 가서 정기구독을 하기 바란다. 잡지를 소개하는 거면 내용을 지나칠 수 없다. 제일 흥미롭게 읽히는 부분은 경제다. (원래 마르크스주의가 경제가 짱이다.) 마르크스주의 경제 분석예컨대, 마르크스21 4호에 실린 '칼 폴라니 사상에 대한 비판적 평가'라는 글은 경제 위기 속 대안에 대해 다룬다. 그러나 뭐니뭐니해도 현실 경.. 더보기
노동계급이 본능적으로 협동적(?)이라는 것을 말해 주는 사례 우연히 나가게 된 모임에서 누가 말했다. 그 사람 말이 자기는 돈이 최우선이라고 한다. 보람 따위 모르고, 돈 때문에 일한다고 '주장'했다. 그 사람은 자기가 만드는 걸, 하나를 만들 때 3만 원을 받는다고 말했다. 저쪽에 있던 사람은 하나에 1만5천 원을 받는다고 했다. 그러자 그 사람은 1만 5천원이 자신이 정해 둔 최저선이라고 말했다. 그러더니 말했다. "처음엔 하나에 5천 원도 받았었는데, 형들이 그러더라고. 네가 5천 원 받으면 다른 사람들이 손해 본다고. 업계 전체 임금이 내려가는 거라고. 그래서 그 다음부터는 1만 5천 원 이하는 그냥 안 해." 라고 말이다. 이 사람은 이기적인가 이타적인가. 쉽게 말할 수 없다.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노동계급이 이해관계를 공유한다는 점이다. 나의 피해.. 더보기
아이작 도이처 트로츠키 3부작에서 트로츠키의 반스탈린 투쟁에 대한 왜곡 서술 다함께의 이론지 《마르크스21》 4권이 나왔다. 여기에는 흥미로운 논문이 실려 있다. 닐 데이비슨이 쓴 ‘현대 진보사상 조류 - 트로츠키 전기 작가 아이작 도이처’(원문)다. 《마르크스21》의 웹사이트는 없다. 글을 링크하지 못해 좀 안타깝다. 온라인 구입은 가능한데, 다함께 홈페이지에 곧 올라올 것 같다. 내가 지난 번에 쓴 ‘아이작 도이처, 《비무장의 예언자 트로츠키 : 1921-1929》’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첫 번째 실수 … 레닌은 관료주의와 싸우려고 했고, 관료주의의 정점에는 스탈린이 있었다. 스탈린은 민족문제에서 소수민족을 탄압했다. 레닌은 그걸 바탕으로 대의원대회에서 스탈린을 끌어내리자고 제안했다. 증거는 충분했다. 트로츠키는 레닌의 제안대로 하지 않고 침묵했다. 스탈린은 괜찮은 지도자.. 더보기
마르크스주의는 결정론·교조주의다? 2009년 12월 12일 발행된 제117호의 특집 기사인 ‘진보의 재구성 ⑥ 스웨덴 모델 ─ 마르크스와 비그포르스’(‘구조조정 촉진하고 시장을 사랑한 ‘진보’’에 딸린 박스기사. 아직 웹에는 안 올라온 듯하다.)에는 이런 서술이 나온다. 스웨덴 사민주의가 그 특유의 사상을 형성하던 20세기 초엽, 전 세계 차원에서 대표적인 ‘진보 이념’은 마르크스ㆍ레닌주의였다. 마르크스ㆍ레닌주의의 핵심은 역사가 ‘필연적’으로 ‘사회주의 유토피아’라는 종착역에 이르게 되어 있다는 결정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절대적으로 궁핍화된’ 노동자 계급의 ‘폭력 혁명’으로 전복될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논리를 마르크스ㆍ레닌주의자들은 ‘과학’이라고 불렀다. ‘유일무이한 진리’라는 의미다. 그들은 마르크스 등의 저서를 축자.. 더보기
추천, 노동OTL - 오늘을 사는 전태일들 선배에게 이 연재하는 노동OTL이라는 게 있단 소릴 들었다. 이 사회 가장 밑바닥에서 시급 4천 원짜리 일을 하며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고 했다. 기자가 직접 체험하고 쓴 기사라고 했다. 기사를 일일이 긁어 텍스트 파일로 만들었다. 핸드폰에 넣어 지하철에서 읽으면서 다녔다. 그 뭉클함, 그 생생함, 그 분노란. http://h21.hani.co.kr/arti/SERIES/46/(이 링크에서 볼 수 있다.) 인상깊었던 구절을 소개한다. 2009년 9월 25일자에 실린 '15만 원 남았다. 희망은 남지 않았다'에 나온 구절이다. 8월23일 일요일, 서울 용산 멀티플렉스에서 영화를 보았다. 공장밥에 길들여진 뱃속에 카르보나라 스파케티와 포르시타 피자를 넣었다. 그리고 저녁에 패밀리 레스토랑에.. 더보기
시민단체와 정부의 지원에 대해, 마르크스주의 입장 지금 은 작가 조정래의 이야기를 연재하고 있다.(인터뷰인데, 뭐라고 적당히 이름 붙일 말이 없어 '이야기'라고 했다. 단순한 인터뷰는 아니기 때문에.) 지난 호 인터뷰는 "내 인생 정리한 유서로 봐도 좋다"라는 제목이었다. 조정래의 자전적 에세이 에 대한 소개가 주된 내용이었고, 현 정부에 대한 평가 등등 여러 가지 내용이 있는 인터뷰였다. 여기서 글감을 하나 얻었다. 시민단체의 독립성에 관한 조정래 선생의 이야기였다. 일단 그 부분을 전부 인용한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시민운동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노무현 정부 시절, 시민운동 단체가 정부의 지원을 받은 것이 잘못이다. 1980년대 민주화 세력이 시민운동으로 옮아간 것은 건설적 변신이었다. 시민운동은 국민이 회원이 되어 십시.. 더보기
국가의 본질 ─ 소설가 조정래의 이야기를 보다가… 마르크스는 국가를 ‘부르주아 집행위원회’라고 불렀다. 마르크스의 저 통찰에는 국가를 좀 얕잡아보는 느낌이 있기 때문에 부정확한 표현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나 국가와 자본이 긴밀한 연관관계에 있다는 마르크스의 통찰은 전적으로 맞는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국가란 무엇인가이런 논의를 위해서는 '국가'가 뭔가 하는 이야기를 해야만 하겠다. 국가=국민 이라는 등식에 익숙한 사람들이 많으니까. 마르크스가 말한 바, 국가는 국가기구다. 국가기구라고 하니까 동사무소 직원들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국가기구를 움직이는 사람들이라고 하는 게 더 정확할 것이다. 내가 여기서 그걸 생선 뼈에서 살 발라내듯이 그렇게 정확히 어디까지가 국가기구고 어디부터는 그냥 공무원 노동자인지 말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