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나가게 된 모임에서 누가 말했다.
그 사람 말이 자기는 돈이 최우선이라고 한다. 보람 따위 모르고, 돈 때문에 일한다고 '주장'했다.
그 사람은 자기가 만드는 걸, 하나를 만들 때 3만 원을 받는다고 말했다.
△레닌은 노동계급이 근본적으로 사회주의자라고 했다.
저쪽에 있던 사람은 하나에 1만5천 원을 받는다고 했다.
그러자 그 사람은 1만 5천원이 자신이 정해 둔 최저선이라고 말했다. 그러더니 말했다.
"처음엔 하나에 5천 원도 받았었는데, 형들이 그러더라고. 네가 5천 원 받으면 다른 사람들이 손해 본다고. 업계 전체 임금이 내려가는 거라고. 그래서 그 다음부터는 1만 5천 원 이하는 그냥 안 해."
라고 말이다.
이 사람은 이기적인가 이타적인가. 쉽게 말할 수 없다.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노동계급이 이해관계를 공유한다는 점이다. 나의 피해는 동료의 피해이고, 동료의 피해는 나의 피해. 그래서 레닌이 말한 것처럼 노동계급은 뿌리부터 사회주의자다. 저기서 얘기한 사람들 중 사회주의자는 나밖에 없었겠지만 말이다. ㅋ
'마르크스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랍 혁명(중동 혁명)을 마르크스주의 입장에서 분석한 유일한 단행본 - 《마르크스21》 9호 (0) | 2011.04.18 |
---|---|
마르크스주의와 변증법 (16) | 2010.08.29 |
사회주의/공산주의는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는가(평등관) (14) | 2010.08.06 |
사회주의/공산주의와 파업 (6) | 2010.08.04 |
[강추] 이론과 실천의 결합, 새로 나온 계간지 《마르크스21》 (2) | 2010.04.06 |
아이작 도이처 트로츠키 3부작에서 트로츠키의 반스탈린 투쟁에 대한 왜곡 서술 (2) | 2009.12.25 |
마르크스주의는 결정론·교조주의다? (6) | 2009.12.13 |
추천, 노동OTL - 오늘을 사는 전태일들 (2) | 2009.11.27 |
시민단체와 정부의 지원에 대해, 마르크스주의 입장 (8) | 2009.10.05 |
국가의 본질 ─ 소설가 조정래의 이야기를 보다가… (2) | 2009.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