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노는 내가 봐왔던 드라마들 중 예술성과 흥행성을 동시에 갖춘 수작이다.
극 초반부에는 질질 끄는 느낌이 싫기도 했다. 특히, 언년이(혜원) 캐릭터는 짜증의 극치였다. 뭐 저런 게 다 있나 싶을 정도로 짜증이 솟구치는 캐릭터였다. 그러나 대길이 패거리의 감칠맛과 노비 패의 담백함이 <추노>의 맛이었다.
후반부로 갈수록 달라졌다. 혜원은 점점 성장했다. 그리고 16화에서 절정에 달했다. 무기력하고 의존적이기만 해서 민폐만 끼치던 혜원은 주체적 인간으로 발전했다.
대길이와 송태하가 검을 부딪히는 장면은 작위적이지 않았다. 목숨을 건 둘의 대결을 위한 개연성은 충분히 마련돼 있었다. 최장군와 왕손이를 죽인 송태하, 그 오랜 인고의 세월을 견디며 다시 뭉친 동료들을 죽인 대길이. 오해가 빚어낸 비극이지만, 그러나 충분한 개연성이 확보됐다.
결혼한 언년이의 모습을 보고 모든 것을 중단하려던 대길이를 돌려세우기에 최장군와 왕손이의 죽음은 너무나도 충분했다.
최장군과 왕손이를 추억하며 주막에서 혼자 밥상을 차려놓고 계란을 입에 집어넣으면서, 울면서 웃고있는 대길이의 표정은 그 상황, 그 감정을 너무나도 절실히 전해줬다.
한마디로 16화는 1화부터 15화를 한꺼번에 모아 꽝 내려치는 파괴력이 있었다.
사실 16화가 마지막 화인줄 알았다. 그런데 아니었다. 예고편을 보니 뒷 이야기에서는 '아랫것'들이 주체적으로 헤쳐모이는 장면이 나올 것 같다. 기대된다.
사족. 대길이와 송태하의 논쟁은 KBS2가 이런 대사 내보내도 되나 싶을 정도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대사였다. 대길이는 말한다. 니 부인이 노비인 게 그렇게 신경쓰이냐고, 마음만 주고받았으면 된 거 아니냐고 비아냥댄다. 송태하는 말한다. 근본은 중요한 것이라고.
그러나 또 송태하는 말한다. 세상은 정해져있는 게 아니라고. 인간이 만드는 거라고. 대길이는 말한다. 세상은 절대 바뀌지 않는 것이라고. 대길이는 송태하에게 대고 소리친다. 너 같은 벼슬아치들이 만든 세상 때문에 나 같은 되바라진 놈이 생긴 거라고. 그래야 살 수 있으니 그런 거라고.
인간의 모순됨을 절절히 보여 준 저 장면은 추노에서 빼놓을 수 없는 묘미였다.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기타라 - 관계에 대한 소박한 통찰 (0) | 2012.11.15 |
---|---|
[뮤지컬] 울지마 톤즈, 감동적인 이야기 - 그러나 조금 부족한 드라마 (2) | 2012.06.22 |
[연극 리뷰] 느릅나무 그늘의 욕망 (0) | 2011.09.30 |
[연극 리뷰] 죽여 주는 이야기, 2010년 8월 31일, 극단 틈 (0) | 2011.09.30 |
배운 것 없는 사람들도 알 건 안다 - 러시아 10월 혁명 당시 한 학생과 노동자의 논쟁 (1) | 2011.06.22 |
프랜시스 윈, 《마르크스 평전》 (2) | 2009.12.30 |
드라마 <아이리스>를 보면서 숨이 막혀오는 이유 (2) | 2009.11.24 |
아이리스 1,2편을 보고 - 스타 마케팅, 자본주의적 영웅, 적군파 (2) | 2009.10.21 |
아이작 도이처, 《비무장의 예언자 트로츠키 : 1921-1929》 (14) | 2009.09.02 |
반이명박을 표방하는 신문, 〈레프트21〉 (10) | 2009.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