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

[연극 리뷰] 느릅나무 그늘의 욕망

유진 오닐의 <느릅나무 그늘의 욕망>(극단 성좌 웹사이트)을 봤다.(R석 3만 원, S석 2만 원. 만24세 이하는 40% 할인. 기타 할인들이 좀 있으니 예매 사이트에 가서 보시길. 장소는 동국대역 근처에 있는 국립극장 하늘극장이다.)

대학로 소극장 연극들은 상업화돼 그런지, 흥미 위주의 극이 많고 작품성 있는 게 잘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예전엔 연극은 아무 거나 봐도 좋은 작품을 보게 될 확률이 높다고 생각했는데 그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래서 얼마 전에 구글 알리미에 '연극'와 '브레히트 연극'이라는 키워드를 등록해 이메일로 받아 보고 있다.

그 와중에 걸린 게 바로 이 <느릅나무 그늘의 욕망>이다. 노벨 문학상을 받은 미국 극작가 유진 오닐의 극이라고 하니 일단 신뢰가 갔다. 시놉시스도 나쁘지 않은 것 같았다. 적어도 돈 날렸다는 생각은 안 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었다. 그래서 봤다.

위키백과의 유진 오닐 항목(2011-09-30 기준)을 보면 이 희곡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느릅나무 아래의 욕망>(1924)

늙은 농부의 세번째 아내와 전처의 아들 간의 숙명적인 욕정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비극으로 긴박감이 넘치는 오닐의 원숙성을 보인 작품.

같이 본 친구는 '스토리가 뻔했다'고 평했는데, 여기서는 "원숙성을 보인 작품"이라고 했다. ㅋㅋ

사실 이 희곡은 한 편의 막장 드라마다. 70대 노인이 30대를 세 번째 부인으로 맞이하고, 20대의 셋째 자식과 이 부인이 사랑에 빠져 파멸에 이르는 내용이다. 근데 요새 워낙 막장 드라마가 많으니 이 정도는 막장으로 여겨지지 않나 보다.

여튼간에 나는 재미있게 봤다. 별점을 매긴다면 별 네 개!

단상 모음

희곡 대본이야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을 테고, 여기서 스토리를 쓰면 그래도 좀 스포일러가 될 테고. 그래서 그냥 단상만 나열하겠다. 그러나 물론! 엔딩이 뭔지 적혀 있다. 따라서 스포일러가 싫으면 읽지 말 것!

극만 보면 잘 표현되지 않지만, 세 주인공은 각자의 아픔을 가지고 있다. 즉, 뭔가 상실한 인간들이다.

셋째 아들인 에본은 15세 때 어머니가 죽었다. 어머니는 아버지가 두 번째 맞이한 부인이었고, 에본은 아버지가 어머니를 부려먹다가 죽음에 이르게 했다고 생각한다. 아버지의 농장은 사실 어머니 것이었는데, 그걸 빼앗기 위해 아버지가 결혼을 했다고 믿는다.

극중 에본은 허공에 대고 "어머니 어디 계세요?" 하고 여러 번 대화를 시도하기도 하는데, 이놈 정신이 굉장히 불안해 보인다. 배다른 형제인 형 둘이 아버지에게서 달아나 캘리포니아로 가겠다고 할 때, 300달러와 유산 포기 각서를 맞바꾸자고 제안할 정도로 약았다. 하지만 딱 그정도만 약았다. 아버지가 데려온 셋째 부인의 계략에 넘어가서 모든 걸 잃을 위기에 처하기도 한다.

아버지인 케봇은 완전 미친놈이고 광신도다. 젊잖은 말로 독실한 청교도라고 한다. 하나님이 어느 날 어디로 가라고 해서 갔더니 세 번째 부인인 에비를 주셨다고 믿는다. 소유욕이 굉장해서 농장을 누구에게도 물려 주지 않겠다고 말한다. 죽는 날 자신이 죽을 때 함께 불태우고 싶다고 말하기도. ㅡㅡ;; 완전 미친 놈이다. 에비가 아들을 낳자고 하자 완전 신나 하면서 꼭 낳자고 한다.

세 번째 부인인 에비는 어릴 때 고아가 되서 고생을 많이 했다. 첫 결혼한 남편은 술주정뱅이였고, 낳은 아기는 죽는다. 남편도 곧 죽어 자유를 얻는다. 그리고 또 고생하다가 케봇을 만나 한몫 잡기 위해 결혼을 한다. 그리고 역시 농장을 상속받기 위해 케봇의 아들을 낳으려고 한다.

이들의 욕망과 사랑이 뒤얽히는 과정, 셋째 아들인 에본을 계략 속에 밀어 넣어 모든 걸 빼앗을 수 있는 데까지 이른 에비는, 그런데 역으로 사랑에 빠져서 그 계략을 모두 헛된 것으로 만드는 선택을 한다. 케봇은 멍청하게 당할 뻔하다가 에비와 에본의 자중지란 덕에 살아남는다. 

나는 "비극이네" 하고 말했는데 친구는 "나름 희극"이라고 주장했다. 마지막에 어쨌든 에비와 에본은 사랑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연극, 느릅나무 그늘의 욕망 무대. 좌측에 느릅나무가 있기는 한데 별로 역할은 안 한다.

느릅나무는 배경에 그냥 서 있는데, 별다른 역할도, 상징도 하지 않는다. 원래 희곡에서는 어땠을지 몰라도 이 연극에서는 별로 비중이 없었다. 대사로도 별로 등장하지 않는다.

무대는 재밌었는데, 2층 구조로 돼 있어서 2층에서도 극이 진행됐다. 무대 앞쪽의 공간을 활용한 것도 재밌었다. 무대 안은 실내, 무대 밖은 실외였다.

보면서 한 생각은, 자본주의에 사는 사람들의 욕망과, 욕망만으로는 해소되지 않는 하나의 인간미가 얽히는 것을 나름 잘 묘사했다는 것이었다.

셋 모두 농장을 차지하려는 욕심에 불타지만, 또 아버지인 케봇은 늘 외롭다고 말한다. 에비는 처음엔 계략을 세워서 에본에게 접근하지만 실제로 사랑에 빠져 버려 자신의 계략을 파탄낸다. 자본주의의 욕심만으로는 모두 설명되지 않는 인간 본연의 욕망도 있는 것이다.

여튼간에, 그걸 그냥 잘 보여 줬다. 굳이 메세지를 찾으려고 하지 않아도 되겠지.

연극이 끝나고 나가는 사람들. 극장은 꽤 널찍하고 쾌적했다.

우리 좌석은 측면 중간쯤이었는데, 평일 저녁이라 역시 빈 자리가 많았다. 그래서 맨 앞으로 옮겨 가서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