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필기] 2012 대선과 진보의 과제
2012 대선과 진보의 과제김문성[참고 : ‘대선 전에 살펴보는 경제 위기와 대선, 대선 이후’를 보면 세계 경제 위기라는 맥락과 함께 대선 국면에 대한 분석이 풍부하게 나와 있다.]검찰 공화국, 삼성 공화국 등의 표현을 보면, 공통점은 모두 선출되지 않은 권력이 세상을 좌우한다는 데 대한 반감이라는 점이다. 사람들은 민주주의를 원한다. 87년에도 직선제를 요구했다. 최근의 투표시간 연장이 공감을 받는 것도 마찬가지 맥락이 있다.속칭 민주정부가 등장했는데 별로 민주적이지 않고 우리 삶이 안 바뀐다. 비정규직 눈물을 닦아주겠다고 대통령이 된 다음 비정규직 악법을 통과시키고 그랬다.핵심은 선출되지 않은 권력인 재벌, 관료, 군부, 보수 언론 등이다. 이들의 연결망이 진정한 권력이다.우리와 정반대의 취지로 "..
더보기
[연극] 기타라 - 관계에 대한 소박한 통찰
라는 제목을 보고 인도 고전을 연극으로 만든 것인가 생각했다. 아니었다. 말 그대로 기타라는 악기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였다. 의 무대는 기타를 만들어 파는 가게다.스포일러가 있다.관계명품 기타를 팔았다가 다시 찾으려고 하는 미미는 진상 고객이다. 기타를 만드는 장인 영배는 한 번 손에 넣은 명품 기타를 돌려 주지 않으려고 한다. 미미는 네가 기타를 만들어 줘라, 그 기타가 맘에 들면 명품 기타를 달라고 조르지 않겠다고 거래를 시도한다. 영배는 그 거래가 함정이란 것을 알면서도 자존심 때문에 응낙한다.언뜻 유치해 보일 수도 있는 시작이지만 중요한 건 그 다음이다. 그렇게 시작된 팍팍하고 상호 공격적인 관계는, 미미가 다음 날부터 매일매일 기타라(가게 이름)에 출근해서 영배의 작업 과정을 지켜 보면서 ..
더보기
어떤 영주가 교회에서 나오는 한 여인을 향해 그의 개를 내몰았다 - 도로테 죌레
개인이 사회의 부속품으로 기능할 때, 아무리 자신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더라도 그 결과가 의도와 무관하게 사회적으로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예를 들어, 아이들을 진심으로 아끼는 한 교사가 자신의 반 학생들을 열심히 가르친 결과, 전체적인 학업 경쟁이 심화되어 청소년 자살률이 높아질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우리는 개인을 비난할 수 없다.아래는 이러한 모순을 날카롭게 포착한 시다.어떤 영주가 교회에서 나오는 한 여인을 향해그의 개를 내몰았다.그는 다만 장난삼아 그렇게 한 것이었다.개는 여자를 땅바닥에 쓰러뜨리고그녀의 옷을 갈기갈기 찢었으며그녀에게 상처를 입혔다.여인은 그 봉건적인 개 주인울 고발하기 위해 법정으로 갔다.그러나 수많은 사람들이 그 광경을 목격했음에도 불구하고그녀는 증인을 찾지 못했다.영..
더보기
초딩도 이해하는 BBK 학습만화 - 비밀의 숲 BBK
박건웅님 작품이라고 한다. 댓글들을 보니 퍼뜨려도 된다고 작가가 허락했으므로 그림을 모두 퍼왔다.http://ppuu21.khan.kr/131 여기서 원본을 볼 수 있다.영상으로 볼 수도 있다.
더보기
제주 해군기지 = 해적기지 인증샷을 방어하며
제주 해적기지 인증샷을 찍었던 김지윤이 강정마을 주민들을 방어하는 글을 내놨다.강용석, 전여옥, 변희재 등 보수 인사들이 내가 제주해군기지 반대 인증샷을 올린 것을 비난한 데 이어, 보수언론들과 국방부마저 이를 인용해 제주해군기지 반대의 뜻을 왜곡하고 있다.내가 인증샷에 ‘제주해적기지 건설 반대!’를 든 것을 보고, 이들은 이게 해군 사병들을 해적으로 지칭하는 것마냥 왜곡한다.그러나 나는 평범한 사병들을 ‘해적’이라 한 적 없다. 강정마을 주민들을 짓밟고 자연 유산을 파괴하며 군사기지 건설을 강행하는 이명박 정권과 해군 당국을 ‘해적’에 빗대 비판한 것이다. 또한, 미국은 동아시아에서 제국주의적 해양 지배를 하려 하는데, 제주해군기지가 미국의 이런 ‘합법적 해적질’을 돕게 된다는 점에서도 ‘해적’기지라 ..
더보기
투쟁을 선동하는 장이 되어야 할 국회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국회를 투쟁을 선동하는 연단으로 삼는다. 의원 신분을 투쟁을 돕는 데 사용했던 사례들을 살펴 본다.그람시그람시. 그는 혁명적 마르크스주의자기도 했지만, 국회의원이기도 했다.이딸리아 자본주의의 발전은 국가가 농민대중, 특히 남부의 대중을 억압해왔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국가가 남부의 농민대중한테서 짜내는 거액의 세금은 북부 이딸리아에 자본주의의 기반을 만들기 위해 쓰여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딸리아의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은 바로 이런 지형에서 형성됐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억압적 법률을 만들더라도, 또 그 법때문에 커다란 조직을 만드는 게 어렵게 되더라도, 공동의 적을 타도하기 위한 노동자와 농민의 통합은 반드시 성사될 것입니다. … 우리는 이 연단에서 이딸리아의 프롤레타리아트와 농민..
더보기
“부자가 서민을 강탈하면 비지니스라 읽고 서민이 맞서 싸우면 폭력이라 부른다”
감명 깊은 이미지를 만났다. 출처는 여기다. When the rich ROB the poor, It`s called business. When the poor fight back, It`s called violence... 부자가 가난한 사람들을 약탈하면, 그것은 비지니스라고 불린다. 가난한 이들이 맞서 싸우면, 그것은 폭력이라고 불린다... 팻말을 들고 있는 노인의 표정이 결연하다. 이것이 미래를 바꿀 것이다.
더보기
마르크스주의 입장에서 본 엘리트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차이
엘리트주의란 대중의 현 상태에 대한 판단을 기준으로 하지 않는다. 대중의 변화 가능성을 기준으로 한다. 엘리트주의자들은 대중이 과거에도 무지했고, 지금도 무지하며, 앞으로도 무지할 것이라고 본다. 마르크스주의자는 대중이 현재 무지할지라도 앞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엘리트주의에 대한 오해엘리트주의 하면 떠오르는 것은 "타인을 무시한다"는 느낌이다. 많은 사람들이 엘리트주의에 대해 갖고 있는 인상이다.마르크스주의에서 "대중"은 중요하다. 사회 변화를 꿈꾸는 사람들의 논의에서 엘리트주의란 단어가 등장할 때는 대중을 어떻게 대하냐 하는 것을 논할 때이므로, 대중에 대한 태도라는 측면에서 엘리트주의를 규명해 보자.대중을 "무시"하는 것은 엘리트주의인가?마르크스는 보통선거가 멍청이를 영웅으로 만든다는 말을 한..
더보기